화학 교재 연구 및 지도법 제2장 화학 교육과정과 교재분석

Download Report

Transcript 화학 교재 연구 및 지도법 제2장 화학 교육과정과 교재분석

화학 교재 연구 및 지도법
제2장
화학 교육과정과 교재분석
개정과정의 방향 및 주요 개정 내용
- 하고싶은 공부, 즐거운 학교
- 학습부담 감축, 학습흥미 유발, 학습능력 함양,
배려와 나눔의 창의인재 양성
1) 학기당 이수과목을 10-13과목에서 8과목 이하로 축소
2) 창의적 체험 활동을 강화하여 배려와 나눔을 실천
3) 미래사회가 요구하는 핵심역량을 키우기 위한 기초교육을 이수
4) 모든 학교에서 똑같은 교육과정을 획일적으로 교육하지 않고, 특성화된
교육과정을 운영
2009년과 2007년 개정 교육과정의 주요 차이
-학년군, 교과군 도입을 통한 집중이수제 유도
-특별활동과 창의적 재량활동을 통합 “창의적 체험활동” 도입
-학습부진아, 다문화 가정자녀등에 대한 특별 배려
-고등학교 이수단위를 204단위로 축소, 대학과목 선이수제 개설
-범교과 학습 요소로 “녹색교육”, “한자교육” 등을 추가
예) 최소한의 과학적 소양을 갖출 수 있도록 실생활과 연계한 주제중심의
융합과목인 “과학” 과목 도입
과학과 교육과정 개정의 배경
- 인위적 분과 과목 구분의 벽을 뛰어넘는 융합 교육을 통한 진정한 창의/
인성 교육을 추구
교육과정 개정의 필요성
1) 민주화된 미래과학기술 시대에서 필요한 통합적 이해가 필요
2) 모든 학생에게 미래 사회가 요구하는 높은 수준의 창의/인성 함양
3) 지나치게 세분화된 틀에서 벗어난 융합형 과학 교육 (예)통섭)
4) 교과과정의 과학과 실생활 과학의 격차 해소
5) 창의성/탐구성 없는 학생에게도 과학교육
6) 과학교육의 완성도 향상
7) 과학에서도 글읽기와 쓰기의 중요성 강조
과학과 교육과정의 성격과 목표
- 성격
1) 구체적 과학 개념보다는 융합적 시각에서의 과학의 의미를 통합적으로
이해시킴
2) 심화과정에서는 어려운 개념이라도 실생활에 필요한 것이라면 적극적
으로 가르침
3) 완성도 높은 과학 교육을 실시
과학과 교육과정의 성격과 목표
- 목표
내용
내용
신/구 교육과정 비교
신/구 교육과정 비교
화학 I 교육과정의 성격
1) 지식기반 사회의 민주시민으로서 갖추어야 하는 기초 소양을 함양
2) 물리적 원리에 입각하여 생명현상의 원리를 제공하는 중심학문적 성격
3) “화학의 언어”, “개성있는 원소”,”아름다운 분자세계”,”닮은꼴 화학반응”
으로 구성
4) 화학이 암기과목으로 잘못 인식되지 않도록 구성
5) 화학 관련 주제들에 대한 조사/토론 등을 통하여 탐구 능력을 함양
6) 탐구활동은 “탐구활동예시”를 참조하여 구성
화학 I 교육과정의 목표
1) 화학의 언어와 기본 개념을 이해하여 물질현상의 탐구와 일상 생활의
문제해결에 적용
2) 다양한 물질 현상을 과학적으로 탐구하는 능력을 기르고, 일상 생활의
문제들을 원자와 분자 수준에서 생각하는 태도를 기름.
3) 인류 문명의 발전에 이바지한 화학을 통해 자연의 규칙성과 질서에 대
한 흥미와 호기심을 기르고, 합리적으로 생각하고 판단토록 함
4) 과학/기술/사회의 상호 관계를 인식
화학 I 교육과정의 내용
화학 I 교육과정의
신/구 교육과정 비교
화학 II 교육과정의 성격
1) 화학 I에서 학습한 기본개념을 바탕으로 보다 심화된 화학의 내용을 이
해하고 활용하도록 함.
2) 화학이 인류의 복지 향상에 기여함을 강조하고 인류의 당면 문제를 해
결할 수 있음을 강조
3) “다양한 모습의 물질”, “물질 변화와 에너지”, “화학평형”, “화학반응속
도”, “인류 복지와 화학”으로 구성
4) 인류의 역사 발전과 미래에 중요한 화학의 역할로서 에너지, 평형, 촉매
등을 설명
5) 기본 개념의 유기적 연결성을 토대로 탐구 능력을 함양
화학 II 교육과정의 목표
화학 II 교육과정의 내용
화학 II 교육과정의
신/구 교육과정 비교
1) 대한민국의 교육 과정
2) 영국의 화학 교육 과정
- 영국의 학교 교육 제도
- 영국의 화학 교육과정 (초중등 및 대학의 교육과정)
3) 독일의 교육 과정
- 기술/전문 교육 과정 선택
- 대학의 교육과정
4) 프랑스의 교육 과정
- 그랑제꼴 시스템
5) 일본의 교육 과정
6) 미국의 교육과정
대한민국
- 전통적인 사/농/공/상의 개념
- 근대화와 빠른 공업화
- 현재의 이공계 기피 현상
역사적인 변화
- 전통적으로 지방 분권적인 교육 체계
- 1988년 국가 교육과정 도입
- 2000 년 새로운 국가 교육과정 도입
영국의 학교 교육 제도
(교재 83 페이지)
초등학교
- 의무교육
중등학교
- 종합학교 제도
- 능력에 따른 학교 제도 (문법 학교 등)
- 특수학교 (CT: 도시 기술학교, CCTAs: 도시 예술 기술 학교)
영국의 국가 교육과정
- 지방 분권적인 성격 (중앙정부, 지역 교육청, 교회, 기타 단체, 교육기관)
- 국가 교육과정은 국가수준의 학령평가 (SAT)와 긴밀히 연계되어 있음.
국가 교육과정 개정 배경
- 21세기 사회가 직업과 가족 생활에 있어 종래와 다른 능력을 요구하게 됨
(1997년)
- 일상생활의 기본이 되는 문해력 (literacy)와 수리력 (numeracy)교육을 강화
- 예) 금융강국으로서의 영국
- 3차원적인 교육: 교과, 범교과적 주제, 교수-학습 능력
국가 교육과정의 개정 내용
- 국가 교육과정 문서의 형식이 새롭게 바뀌어 사용하기 쉬워짐
- 학교 교육과정 및 국가 교육과정의 가치, 목표, 목적을 명백히 제시
- 모든 학생들에게 효과적인 학습기회를 제공할 것을 강조
- 교육과정이 명료해지고 더 많은 융통성을 허용함.
새 교육과정에서 변화된 사항 (모든 교과에 걸친 사항)
- 학습 프로그램이 전보다 덜 처방적: 교육과정의 융통성
- 요구사항이 줄어들고, general teaching requirements라는 이름이 제시됨
- 교과내, 교과간, 그리고 다른 개혁간의 일관성이 증대됨.
(각 교과는 공통된 형식을 따름)
- 각 교 과의 원리애 대해 매우 강조
- 언어의 사용에 대한 진술이 이전보다 더 명료해짐
- 종전의 IT가 ICT로 바뀜: communication의 중요성이 여전히 강조
Key stage 별로 본 탐구실험 영역과 물질의 특성 영역의 하위영역
(교재 91페이지 표 2.2)
영국의 대학 교육 과정 (화학)
- Reader 제도
- 집중 교육
- 분야별 대가의 교육 (예) Faraday 연구실 교수의 전자기학 강의)
기술/전문 교육 과정 선택
- 11-2세 전후에 장래에 대하여 결정
- 기술학교/김나지움 결정
- 기술학교 졸업 후 취업 및 김나지움 졸업 후 대학 진학
- 기술학교 졸업자들의 빠른 사회활동
- 대학에서의 학-석 연계 과정
- Diplom 획득이 매우 어려움 -> 매우 전문적인 인력 양성
- 기술자들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높음.
프랑스의 교육 과정
- 에꼴-그랑제꼴 시스템
- 기술자들에 대한 우대 (제빵사, 소믈리에 등)
- 평등성에 대한 개념을 갖고 있음.
(프랑스 혁명의 기본 정신. 인종/성별/직업의 차별이 없음.)
- 석사 과정에 있어서 DEA/DESS 이원화된 교육
- 전통적으로 강한 논리력
- 지식보다는 논리적으로 사고하고 토론하는 문화를 배움
일본의 학교 제도
- 우리나라와 비슷한 6-3-3 교육 제도
교육과정 운영 체계
- 교과서는 문부과학성이 검정
- 학교는 문부과학성 검정교과서 중 지방교육위원회 관할 교과서 사용
- 문부과학성의 학교 감독관이 감독
화학교육과정
- 우리나라의 제도와 비슷
- 학생들로 하여금 많은 체험/탐구활동을 권장함.
- 과학 교과 (물리, 화학, 생물, 지학) 중 2과목을 선택하여 지도함.
일본 현지 학생의 경험담
- 화학 교육에 있어서의 “imagination”을 일깨워 주는 것이 효과적
스푸트니크 쇼크와 학문 중심 과학 교육과정의 출현
- 국가 발달을 도모하기 위해서는 지식의 본질과 기본 개념의 효과적인
습득을 통하여 학생의 탐구력, 발견력 등을 개발시키고, 과학의 산물인
지식을 가르치는 것보다 지식이 성립되는 과정을 능동적으로 학습하도
록 해야 한다.
- 다양한 초중고등 교육에서의 과학 프로그램
학문 중심 과학 교육과정의 쇠퇴와 새로운 진보주의의 대두
-학문 중심 교육과정의 문제점
* 교과의 기본 구조와 개념 체계를 너무 강조함.
* 학생들의 지적 능력만을 강조하여 과학자를 위한 교육이 됨
* 이론과 순수과학에만 관심을 두어 일상생활과의 괴리가 있음.
새롭게 제시된 4개의 과학 교육 목표 (STS의 대두)
- 학교의 과학 교육은 과학 기술 사회에서의 삶의 질을 높이는 데 필요한
개인적인 요구를 만족시켜야 함
- 과학이 관련된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는 데 필요한 정보를 제공해야 함
- 개인의 필요에 따라 학문적인 과학 지식을 제공해야 함
- 과학 기술 관련 직업에 대한 인식을 높여야 함
* STS 운동의 대두
국가 과학 교육 기준 (NSES)
- 의도: 모든 학생을 위한 과학 기준, 즉 수월성과 평등성의 개념
- 과학 교육의 내용 뿐 아니라 교수기준, 교수전문성 계발 기준등을 제시
NSES 개발 원리와 과학적 소양
- 과학은 모든 학생을 위한 것이다.
- 과학 학습은 능동적 과정이다.
- 학교 과학은 현대 과학 활동을 특징짓는 지적, 문화적 전통을 반영한다.
- 과학 교육 개선은 체계적인 교육 개혁의 일부이다.
* 자연의 세계를 조사하여 이해하는 과정에 대한 아름다움을 경험하게
한다.
* 개인적인 의사 결정 과정에서 적절한 과학적 과정과 원리를 사용한다.
* 과학과 기술이 관련된 문제에 대한 공적인 대화와 토론에 지적으로
참여한다.
* 직업 현장에서 과학적인 소양을 바탕으로 경제적인 생산성을 높인다.
NSES의 내용 기준
- 통합 개념과 과정 기준 (교재 101페이지 표)
- 물상 과학 기준 (교재 102-103 페이지 표)
- NSES의 강조점
* 지양점과 강조점으로 세분화되어 있음.
분석틀의 개발
- 내적 체제와 외적 체제
- 내적 체제의 요건: 교육과정 목표, 내용구성 방식, 개념 설명 전개 방식
- 교육과정 목표 기준
1) 탐구를 통한 기본 개념의 제시
2) 다양한 탐구 능력을 형성할 수 있는 탐구의 제시
3) STS에 대한 적절한 예시
- 내용 구성 방식 기준
1) 도입과 내용 전개의 부합
2) 정리와 내용 전개의 부합
3) 예저, 단원정리 문제 등과 내용 전개의 부합
분석틀의 개발
- 개념 설명 전개 방식
1) 과학 개념 설명의 위계성
2) 비유의 적절성
3) 삽화, 사진 등의 적절성
4) 과학 용어 사용의 적절성
5) 실생활 예시의 다양성
- p. 114 분석틀 표를 참고
고등학교 화학 I 교재 분석의 실례
- 화학 I의 목표
1) 물질 현상의 탐구를 통하여 화학의 기본개념 이해, 실생활 적용
2) 물질 현상을 과학적으로 탐구하는 능력을 기르고 실생활 활용
3) 물질 현상과 화학학습에 흥미와 호기심 유발
4) 화학이 기술의 발달과 생활에 미치는 영향을 바르게 인식
- 과학 개념 설명의 위계성
- 비유의 적절성
- 삽화, 사진 등의 적절성
- 과학 용어 제시의 적절성:
고등학교 화학 II 교재 분석의 실례
- 화학 II의 목표
1) 탐구활동을 통하여 화학의 기본 개념을 체계적으로 이해 및 자연현상 설명
2) 물질 현상을 과학적으로 탐구하는 능력 함양
3) 물질 현상과 화학 학습에 흥미와 호기심을 가짐
4) 화학이 기술의 발달과 사회의 발전에 미치는 영향 인식
- 탐구를 통한 기본 개념의 제시
몰에 대한 교육과정 해설
- 다양한 탐구능력을 형성할 수 있는 탐구의 제시
단순탐구와 다양한 탐구 능력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