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일군

Download Report

Transcript 보건일군

북한의 보건의료와
‘보건일군’
이 혜 경
CONTENTS
1
북한의 보건의료시스템과 실태
2
‘보건일군’(보건의료인)양성
3
체제수호의 ‘보건일군’
4
마치면서
1. 북한의 보건의료시스템
無常
치료제
의사담당
구역제
주체의학
예방의학
러.의 펠셀제도
中의 맨발의 의사
• 4단계
• 태동기(1945-56): 46.3 사회주의 보건
법,46.12 ‘무상치료제 실시할데 대하여’발
표,52.’국가사회보장에 관하여’ 52.10 ‘전
반적 무상치료제 실시할데 대하여,53. 3
차당대회에서 언급.
• 성장기(1957-70): 5개년계획, 1차7개
無常
치료제
년계획-경제국방병진로선
• 성숙-완비기(1971-85): 6개년계획, 2
차 7개년계획, 72.사회주의 헌법서 ‘무상
치료제’를 공민의 권리로 규정. 1980. 4 ‘
인민보건법’ 채택.
• 쇠퇴기(1990-현재): 3차 7개년계획, 동국
권 붕괴, 김일성 사망, 식량난,경제난,의
료난 등 복합적 악재…
의사담당구역제
~
리 0
• 1961-69 : 의사담당구역제 도
입
책여보
임명건
지의일
고 주 군 • 1970-80: 의사담당구역제 운영
민
1
돌
들
보 인 • 1990-현재: 호담당구역제로 승
의
는 당
화, 운영
건
제 60
강
도
관 10
• 환경위생: 도시미화사업
•
•
개인,식료위생사업
위생선전
• 예방접종: 생후 1주일~ 소아접
종
예방의학
성인접종
• 전염병역학: 분기별, 구충구제
사업, 담당구역의 위생초소를 통
한 역학조사사업, 여행자단속조사
사업, 유열자 조사 등의 역학조사
사업.
• 건강검진: 年 1회이상 담당구
역 전주민
2. 보건일군 양성정책
1) 보건일군 정의- 보건부문 종사자를 통틀어 칭함.
의사,
약제사
상등보건일군
의학대학,약학대학을 졸업한자
( 주간,통신, 특설)
보건일군
준의사
준약제사
중등보건일군
의학전문학교를 졸업한자
(주간,통신,검정)
노동자
간호원
간호원학교, 보건간부양성소, 의학전문학교
양성반…
2. 보건일군 양성정책
2) 초기 보건일군 양성의 도입
 해방직후 북한에 단 한 개의 의학대학도 전무.
 1948년 평의전과 함의전을 의학대학으로 승격.
 부족한 교원진에 대한 수혈원천으로 남한 택함.
-20여명의 남한 의대 교수진들이 납.월북.(10명확인)
 보건일군 양성정책 제시
2) 초기 평양의대의 교원 진영(55-60년)
No
이름
전직
현직
교수상황
서울대 연구자료
확인여부
1
김봉한
서울대
교수
평의대
생리학강
좌장
처음에는 청수준의학교 교
관, 경락실태 연구강요-초
기거부하다가 당적제제 심
해 경락연구소 책임,운영연구실패로 처단
서울대 조교수
서울여자
의대교수
확인
2
계운홍
서울대
교수
병리해부
학
강좌장
봉한소체 실태 검토과정에
‘이거 토끼털 아냐?”발언
으로 좌천
미확인
3
리기빈
서울대
교수(日
유학)
내과총론
강좌장
혁명화대상으로 추방(죄명:
부유계층)
미확인
4
리제복
서울대
교수
외과각론
강좌장
간첩누명으로 처단
미확인
5
리정두
서울여
자
의과대
졸업
안과박사
김일성의 여박사 의향발언
천리마시기 배출//김춘영을
사모하여 자진입북//요덕수
용소 수감
미확인
6
임연희
서울대
교수
현직 서울대 교수에서 자진
입북 여덕수용소서 사망.//
후에 母가子를 데리고 입북
-증언자의 담임.
미확인
초기 평양의학대학의 교원 진영(南출신)
No
이름
전직
현직
교수상황
서울대 연구자료
확인여부
7
신성우
서울대
교수
평의대
안과강좌
장
간첩혐의로 수용소행
8
장지반
서울대
교수
산부인과
강좌장
지방으로 추방
9
임문빈
서울대
교수
(美 박사
학위)
정신과
강좌장
납북될 때 사시나무 떨듯 차
에 태워져 연행되었다. 정신
병학계의 거물(소련의 한재판
관은 명성만 들어도 발작이
스톱되었다는 설)후에 혁명화
로 좌천
서울의대 조교수
서울여자의과대 교수
2005년 사리원의대근무
확인
10
리정복
서울대
교수
내과총론
강좌장
교원퇴직 후에 정부병원 근무
서울의대교수
서울여자의과대 학장
확인
11
리제복
서울여
자
의과대
졸업
외과각론
강좌장
소련의 비지넵스끼 집도수술
에 참가한 유일한 외과교수,
교과서집필의 유명교수, 18
호병원 외과과장 후 외과병원
강좌장, 김일성콩팥수술 집도
서울대
교수
내과각론
강좌장
12
리정두
납북교수 중 최연소 교수.
확인
미확인
애국열사릉
확인
확인
초기 평양의학대학의 교원 진영(南출신)
No
이름
전직
13
임연희
서울대
교수
14
김시창
15
현직
교수상황
서울대 연구
자료
확인여부
내과임상
강좌장
학생들에 대한 요구성이 가장 높은 교원이
었음.
확인
서울대
교수
신경외과
강좌장
수술시에 미인계 간호원들만 정열, 뇌지스 서울의대 교
토마 발병 책임, 수업에서 ‘학생제군들!’ 수 서울여자
발언 등 간첩혐의로 처형.
의대교수
확인
최명학
서울대
교수(日
유학)
병태생리
학강좌장
해방전 함흥에서 개업의사,
김시창박사 후임.
1926년 세
브란스의전
졸업,
세브란스의
전교수확인
16
리병남
서울대
교수
초대 보건
상
광복 전 남한에서 소아과병원개업의사 중
‘빨갱이’를 몰래 치료업적으로 납북.
1948년 자녀까지 월북시켜 모스크바종합
대학 의과대 유학공부,
디스토마 박멸시 기여. 임상연구소 강등
후 은덕군으로 추방생활 중 1980년대 뇌
출혈로 사망.
훗날 애국열
사릉
확인
17
리억세
서울여
자
의과대
졸업
약리학
강좌장
리국노子-함께 샛별군으로 추방, 김일성
의 회고록 3권회고후 1980년대 청진의대
약학부교원 회복.
미확인
2. 보건일군 양성
3) 보건일군 양성정책
의학 교육에서
실습 조건 구비,
실습설비 보장,
실습병원 알선
각 도마다 의학
대학을 설치–
보건인력 자체양성
1.
5.
2.
보건일군
양성정책
여성보건일꾼
양성 주력
4.
3.
주간교육과 야간
및 통신교육
체계를 도입.
특설 반을
강화하고 통신
및 야간 학부
규모를 확대
4) 보건일군 양성
보건일군 양성기관
의(약)학
대학
(5-6-7년)
11개의학대학
1개 약학대학
의학전문
학교
(3-4년)
보건간부
양성소
(6월-2년)
12개 의학
전문학교
각 도에
1-2개의
양성소
4) 보건일군 양성기관
 보건일군 정의
보건의료의 환자치료
의사, 약제사
준의,
준약제사
간호원,조산원
, 보철사,
렌트겐기수
의사, 준의, 간호원들은 3위
일체가 되어 의료행위를
진행한다.
이들의 행위들은
상호보완적으로 진행되여
서로가 상명하달식으로
집행된다.
5) 교육형식: 전문교육과 속성교육
전문교육의 주간교육과 병행
속성교육에는 통신교육과 특설학부교육 검정교육, 야간교육이 있다.
주간학부
통신학부
특설학부
검정
6-7년 대학교육
3년 속성교육
주간학부-대학에
주거단위를 정하고
양성받는 형식
특설학부 현직 보건일군의
급수상향을 위한 대학진학 교육
통신학부- 현직 무자격
보건일군들 일하면서
배우는 교육체계
 의학대학의 학부들
구강학부
(치과)
고려학부
(한의학부
)
약학부
위생학부
의학대학
임상학부
 약학대학의 학부들
약제학부
대표적인 약학대학인
제약
학부
합성
학부
학부들
학부
들
생약
학부
함흥고려약학대학
의료기
구학부
의학전문학교의 학제들
구강학과
(치과)
고려학과
(한의학부 의학전문학교
)
약학과
양성학과(2년)
간호, 조산,
보철,
안마,렌트겐
임상학과
 보건일군양성의 교육과목
구분
과목수
%
정치과목
12
24%
기초,전공과목
38
76%
계
60
100%
-체제수호의 전위로 양성
“의사들은 의사가 되기 전에 공산주의자가 되어야 합니다. ”
그것은 의사들이 의술이 능하여 완치하는 것이 아니라 사회주의
사회의 우월성 때문에 살아나게 되었다는 선전,선동- 즉
체제수호와 당과 수령께 충성 하게 유도.
정
치
일
군
으
로
양
성
 보건일군 대량배출
의학대학 학부별 졸업생
신의주의
대/특설/
연200
청진의학
대학/통신
/연300
함흥의학대
학
주간/연400
평양의학대학
주간/연400
-주간학부와 통신학부 특설 등의 여러형태의 교육과정을 통하여 연 매 대학마다
1000여명의 졸업생들이 배출된다.
-매 대학 당 1천여명이 11개 대학이면 한 해에 1만여명의 의사, 약제사들이 양성되어
사회에 배출된다.
남북 주요 보건의료지표
지
표
북한
남한
북한/남한
인구 만 명당 의사(명)
32.9(02)
17.1(03)
1.9
인구 만 명당 간호, 조산인력
41.2(02)
43.9(03)
0.9
58/60
65/71
-7/-11
모성사망률(출생아 천명당 09)
370
14
26.4
심생아 사망률(출생아 천명당
07)
29
2
14.5
건강수명(년, m/f, 03)
출처: World Health Statistic 2008. WHO: 2009 세계인구현황,
UNFPA:북한주요통계지표 통게청
3. 체제수호의 보건일군
1) 고난의 행군과 의료난





의약품공급 저하(80년대 말)
의약품매매 출현(90년대 초)
병원식당 폐문(90년대 중반 식량난)
전염병 확산(94.10)
전쟁물자 비축(90년대 초)
3. 체제수호의 보건일군
2) 체제수호와 주민결속이 사명




‘정성운동’ 발단(67년)
전국적인 보건일군들의 심볼(70-80년대)
90년대 정성운동의 퇴색(90년대)
무상치료제-유상치료제로 이전
-고려의학(70%)도입, 환자들 주머니에 의존,
약초, 진단서, 수술 등 유료화.
북한 사회주의 우월성-보건의료
1990년대 후반 북한의 병원실태
예방접종활동
북한의 제제약병
고난의 행군정신을 발휘하자!
국제의료센터장 인요한의 북한 감상?
의사들은 위험을 무릅쓰고 전염병에
걸린 사람들을 찾아내여 그들을
격리시키고 의약품이 부족한
가운데서도 치료하고자 혼신의 노력을
다한다.
…북한의 의사들은 …부족한 약품을
구하기 위해…약초를 캐기도 하고
사소한 의료용품도 … 약솜과
붕대제조를 위해 병원 텃밭에 직접
목화를 재배하는 등 환자치료를
위해서는 허드렛일도 마다하지 않는다.
또한 도관,직달법, 방사선 직접투시법
등 자신의 몸을 희생적으로 환자를
돌본다.
4. 마치면서
• 무상치료제는 경제적 기반이 갖추어진 조건하에
서는 매우 우월한 제도로 진정한 인민의 건강보
호를 위한데 복무하였다.
• 경제난 식량난, 에너지난하의 무상치료제 슬로
건의 사회주의는 허구.
• 교육을 통한 체제결속의도 지양.(보건일군 정치
화와 양적강화 지양, 질적고양 지향)
• 건강보험제 도입의 유명무실화된 무상치료제에
서 유상치료제 실시를 시사.
THANK YO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