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성기초의 접지압분포

Download Report

Transcript 연성기초의 접지압분포

기초공학론
5장 기초의 침하
5.1 개설
5.1.1 접지압과 침하분포
 접지압과 침하의 분포형태
 지반과 기초의강성에 따라 크게 영향을 받음
(그림 5.1)
 강성기초의 경우 :
- 접지면에서의 변위는 일정하게 발생
- 접지압은 등분포로 발생되지 않음
 연성기초의 경우 :
- 접지압은 등분포로 작용
- 침하는 일정하게 발생되지 않음
5.1.1 접지압과 침하분포

그림 5.1 접지압과 침하분포 (Fang, 1991)
(a) 강성기초
5.1.1 접지압과 침하분포

그림 5.1 접지압과 침하분포 (Fang, 1991)
(b) 연성기초
5.1.1 접지압과 침하분포


강성기초의 접지압 분포(그림 5.2 및 그림5.3)
Sadowsky와 Boussinesq는 각각 2차원 및
3차원 반무한지반을 대상으로 접지압을
식(5-1) 및 식(5-2)로 제시
(5-1)
(5-2)
여기서, P:기초의 전하중 a:재하반경(혹은 반폭)
x, r : 기초 중심에서 부터의 수평거리
5.1.1 접지압과 침하분포


이들 식에 의하면 그림 5.2(a)의 기초단부(모
서리)에서 접지압은 무한대로 됨
그러나 실제는 기초단부에서 전단응력이 항
복이 되어 점차 중앙부로 하중이 옮겨가므로
그림 5.2(b)와 같은 등분포 형태에 접근
5.1.1 접지압과 침하분포

Faber(1933)의 실험결과

모래지반에서는 단부부근에서의 측방이동이 발생되
기 쉬워 Köler등(1936)이 발표한 회전포물면형상이
나타나지만, 측방이동을 구속하게 되면 분포형태가
변하게 됨 (그림 5.3(a)).
연약점토지반에서는 그림 5.3(b)와 같이 일반적으로
종모양의 분포가 발생되나 고결점토와 같이 인장강
도가 큰 경우는 단부에서의 접지압이 크게 되어
Sadowsky 및 Boussinesq의 이론 분포에 유사하게
됨
기초깊이가 깊은 경우 접지압 분포 : 등분포 그림
5.3(c)


5.1.1 접지압과 침하분포
(a) Boussinesq(Sadowsky)에 의한 (b) 모서리부 하중이 항복한 경
우
접지압분포

그림 5.2 접지압의 이론분포
5.1.1 접지압과 침하분포

그림 5.3 접지압 분포와 지반의 관계(강성기초)
(Köler, 1936)
5.1.1 접지압과 침하분포

그림 5.3 접지압 분포와 지반의 관계(강성기초)
(Köler, 1936)
5.1.1 접지압과 침하분포



연성기초의 접지압분포
기초의 강성이 적어 접지면의 변형은 응력분
포를 크게 변화시킬 정도는 못됨
- 접지압은 미리 정해진 상태대로 고려
- 대표적인 사례 : 차량하중, 얇은 슬래브를
통하여 전달되는 하중
점성토지반(포화점토 및 암도 포함) : 접지면
이 위로 오목한 형태로 변형
5.1.1 접지압과 침하분포



연성기초의 접지압분포
사질토지반 : 기초단부의 구속응력이 중앙부
보다 적으므로 침하형태가 아래로 오목한 형
태가 됨
- 중앙부의 모래는 구속된 상태에 있게 되므
로 모서리부보다 중앙부가 큰 계수를 가지게
되며 결과적으로 중앙부의 침하량이 단부보
다 작게됨
연성기초의 재하면적이 매우 클 경우 중앙부
부근 침하는 비교적 균일하게 되어 단부에서
의 침하가 감소
5.1.2 침하유발요인
침하를 유발시키는 가장 직접적인 요인으로
는 구조물하중의 재하
 침하를 유발시키는 요인(Simons, 1987)
① 상부구조물하중재하
② 지하수 저하
③ 습윤시 입자구조의 붕괴
④ 팽창성 지반의 히빙
⑤ 인근 수목의 신속한 성장(점토지반)
⑥ 기초의 부식(콘크리트의 황산피해, 강말뚝의
부식, 나무말뚝 부식)

5.1.2 침하유발요인
침하를 유발시키는 요인(Simons, 1987)
⑦ 광산갱의 침하
⑧ 공동
⑨ 진동(모래지반)
⑩ 수목제거후 점토지반의 히빙
⑪ 계절적 수분이동
⑫ 동결작용

5.1.2 침하유발요인

표 5.1 침하
유발요인
Sowers and
Sowers(197
0)
5.1.3 침하성분
포화지반상 기초의 침하성분
1. 즉시침하(si):탄성침하 혹은 초기침하라
고도 하며 하중재하시 체적변화가 없는 상
태에서 순간적으로 발생되는 침하 (모래지
반의 경우는 체적변화가 발생됨)
2. 일차압밀침하(sc):과잉간극수압소멸에
의한 체적변화로 발생되는 침하
3. 이차압밀침하(ss):과잉간극수압이 없는
상태에서 발생되는 크리프성 침하

5.1.3 침하성분
O
침하량, S
Si
Sc
Ss
0
tp
하중재하후 시간

그림5.4 얕은기초의 시간-침하량 관계개략도
5.1.3 침하성분

전 침하량 : 이들 세 성분의 합
S  Si  S c  S s



(5-3)
즉시침하량: 하중재하와 동시에 발생되는 초기
침하량, 대부분이 공사기간중에 발생, 탄성론에
의하여 계산되고 있으나, 실제 이 침하량은 탄성
적이 아님
일차압밀침하량 : 간극으로 부터의 물의 점진적
배수에 의한 침하
이차압밀침하량 : 입자구조의 압축변형에 의한
침하
5.1.3 침하성분





일차압밀침하속도 : 지반의 간극으로 부터 간극수가
배재되는 속도에 의존
이차압밀침하속도 : 압축은 과잉간극수압이 전부 소
멸된 후 흙입자구조 자체가 항복압축크리프되는 속
도에 의존
일차 및 이차압밀침하의 변환시점은 과잉간극수압
u가 0이 되는 tp (그림 5.4 참조)
지반의 거동은 작용하중에 대하여 선형적이 아니기
때문에 식(5-3)과 같이 단순히 각 침하량 성분을 중
첩시키는 것은 엄밀히 말하면 정확하지는 못함
현재의 기술수준으로서는 아직 이 식에 대치될 만한
것이 제시되지 않고 있으며 또한 여러 종류의 침하량
예측에 비교적 잘 일치
5.1.3 침하성분




지반의 종류에 따른 주 침하량성분
모래지반- 즉시침하
점토지반- 압밀침하
유기질성분이 많이 함유된 지반- 이차압밀침하
5.2 즉시침하
5.2.1 탄성론
 사질토지반이나 견고한 점토지반의 침하량계
산에는 초기발생침하량을 탄성침하량으로 간
주하여 탄성론이 많이 적용
 실제지반은 선형탄성체와 같이 거동하지 않
지만, 현장의 거동을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
는 합리적 설계법이 아직 마련되지 않은 현재
의 상태에서는 탄성론이 적용
5.2.1 탄성론

Davis와 Poulos는 다층지반에 발생되는 전
침하량은 각 층에서 발생되는 연직변형률을
합하여 다음식으로 제안
(5-4)
여기서,
각층의 탄성정수
기초하중에 의한 지중발생응력
각층의 두께
5.2.1 탄성론

균일층으로 된 지반의 전침하량
(5-5a)
(5-5b)
여기서,
5.2.1 탄성론



즉시침하가 전체침하량에 중요부분을 차지하
게 되는 경우 즉시침하량을 계산하기 위하여
는 (비배수)탄성계수를 옳바르게 결정
기초설계시 지지력에 적절한 안전율을 마련
하기 위하여 후팅크기를 증가시키거나 매트
기초가 선정됨
식(5-5)에 의하면 즉시침하는 작용하중과 기
초폭(크기)에 비례관계가 있으므로 유념
5.2.1 탄성론



Perloff & Baron(1976) : 전체기초하중이 동
일한 경우 정방형후팅의 크기를 증가시키면
후팅 증가량에 비례하여 즉시침하량이 감소
함을 확인
동일한 탄성정수를 가지는 지반에서 작용응
력 q가 감소하면 침하량이 증가되는 식(5-5)
의 정당
단위길이당 하중 P(t/m)가 일정한 상태에서
접지압 q를 줄이기 위하여 폭 B를 증가시켜
도 탄성침하량은 변하지 않음도 확인
5.2.1 탄성론


길이 B와 nB를 가지는 두개의 정방향후팅에
각각 동일한 접지압 q를 가한 실험에서 큰 후
팅의 즉시침하량은 작은 후팅의 즉시침하량
의 n배가 발생
식(5-5)에서 q가 일정한 상태에서 B를 증가
시키면 Si가 증가
5.2.2 점성토지반 즉시침하
(1) 일반적 산정방법
 포화점성토지반에 국부하중이 급히 작용할
경우 점토의 투수성이 낮으므로 간극수의 배
수가 불가능 점성토지반이 비배수상태 혹은
체적불변의 상태에서 침하가 발생
 점성토지반의 초기침하량을 계산하기 위하여
선형탄성론이 적용
- 식(5-5)를 약간 응용하여 식(5-6)과 같이
구함
5.2.2 점성토지반 즉시침하
(5-6)

여기서,
5.2.2 점성토지반 즉시침하




이와 같은 이론은 근본적으로 지반이 균질성과
등방성을 가지는 이상적 지층으로 형성되어 있
다고 가정
지반의 특성을 단순히 탄성계수와 포아송비의
두개의 정수만으로 나타낼수 있는 장점
탄성론을 점토지반에 적용시킬수 있는 경우는
작용하중(응력)이 작은 경우에 국한됨
- 파괴하중에 비하여 안전율이 충분히 커서 기
초지반에 소성항복이 발생되지 않는 경우에만
가능
지지력에 대한 안전율이 3이하가 되면 즉시침하
량 계산시 비배수소성항복의 영향을 고려
5.2.2 점성토지반 즉시침하




작용응력이 선행압밀응력보다 큰 연약지반에
서는 즉시침하량이 압밀침하량의 10%정도가
됨(Burland et al., 1977)
- 비교적 그다지 중대한 분량이 되지 않음
과압밀점토 혹은 견고한 점토층이 깊은 경우
일지라도 즉시침하량은 전체침하량의 70%를
넘는 경우가 적음
불균일이방성지반에는 25%까지 되는 경우도
있음
Si/S 의 평균치 : 0.5∼0.6
5.2.2 점성토지반 즉시침하
(2) NAVFAC법
 등분포하중 q가 원형 및 사각형 면적에 작용
할 경우 연직침하량을 식(5-6)과 유사한 형
태로 식(5-7)과 같이 결정 사용
(5-7)
여기서 Cs :기초의형상 및 강성계수(표 5.3)
B(폭)는 그림5.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함
5.2.2 점성토지반 즉시침하

표 5.3 형상 및 강성계수 Cs
5.2.2 점성토지반 즉시침하

표 5.3 형상 및 강성계수 Cs
5.2.2 점성토지반 즉시침하
침하검토
위치
기반암
원형기초
직사각형기초

그림 5.5 지층과 기초형상
5.2.2 점성토지반 즉시침하
(3) Janbu등의 방법

체적변화가 없는 비배수상태에서의 변형
을 고려하는 점에서 포아송비 를 0.5로
하여 식(5-6)을 식(5-8)과 같이 수정
(5-8)
여기서, Iu: =0.5일때의 영향계수(그림 5.6)
5.2.2 점성토지반 즉시침하

그림 5.6 Janbu et al 의 0, 1 (simons. 1987)
5.2.2 점성토지반 즉시침하



그림5.6은 Janbu등에 의하여 제시되고
Christian & Carrier에 의하여 수정됨
연성의 띠기초, 사각형기초 및 원형기초에 등
분포하중이 작용할 경우 발생되는 평균즉시
침하량 산정에 이용
평균침하량은 그림 5.6에서 1과 0값을 구
하여 식(5-9)와 같이 영향계수 Iu를 결정한후
식(5-8)로 구함
(5-9)
5.2.2 점성토지반 즉시침하
(4) Butler법
 불균질탄성층상에 설치된 연성사각형기초에
등분포하중이 작용할 경우 기초모서리부에서
침하량을 계산하기 위하여 그림 5.7과 같은
그래프를 제시
 탄성계수가 식(5-10)과 같이 깊이에 따라 선
형적으로 증가한다고 가정
(5-10)
5.2.2 점성토지반 즉시침하

0
0
0.1
0.2
0.3
0.4
0.6
L
=1
B
 = 0.5
1
2
3
E=E0[1+k
4
z/B
0.5
q/unit area
B
5
L
6
7
σ=
8
9

k=10 k=2
k=0.5
k=5
k=1
z
]
B
z
qB
E0
k=0
그림 5.7 선형증가 탄성계수지반의 영향계수
(Simons, 1987)
5.2.2 점성토지반 즉시침하

0
1
0
0.1
0.2
0.3
0.4
0.5
L
=2
B
 = 0.5
2
3
z/B
0.6
E=E0[1+k
4
q/unit area
B
5
L
6
7
8
9

σ=
k=10 k=2
k=0.5
k=5
k=1
z
]
B
z
qB
E0
k=0
그림 5.7 선형증가 탄성계수지반의 영향계수
(Simons, 1987)
5.2.2 점성토지반 즉시침하

0
0
0.1
0.2
0.3
0.4
0.5
0.6
L
=5
B
 = 0.5
1
2
z/B
3
E=E0[1+k
4
L
6
7
σ=
8
9

q/unit area
B
5
k=10 k=2
k=0.5
k=5
k=1
z
]
B
z
qB
E0
k=0
그림 5.7 선형증가 탄성계수지반의 영향계수
(Simons, 1987)
5.2.2 점성토지반 즉시침하

이 그림으로 구한 즉시침하량은 다음과 같은
관계를 보임
(5-11a)
(5-11b)
여기서, f=연성기초, r=강성기초
5.2.2 점성토지반 즉시침하

Davis & Poulos는 강성기초의 침하와 연성
기초의 침하 사이의 관계를 제시
(5-12a)
(5-12b)
(5-12c)
여기서,cet:중앙부 edg:단부 cor:모서리부
5.2.3 사질토지반 즉시침하
(1) 사질토의 압축성
 사질토지반의 침하량 : 즉시침하량성분이 지
배적
 대상지반이 지하수위 아래 존재하거나 포화
되어 있다고 하여도 지반속의 과잉간극수압
이 재하기간동안 신속히 소멸
5.2.3 사질토지반 즉시침하




사질토지반의 침하량은 점성토지반의 침하량보
다 상당히 적음 하지만 구조물의 침하에 따른 피
해를 방지하기 위하여 정확하게 예측
대부분의 구조물은 완속재하시보다도 급속재하
시의 부등침하에 대단히 민감
사질토지반은 점토퇴적지반에 비하여 불균질인
경우가 많음
지하수위가 높은 느슨한 모래지반상에 폭이 좁
은 얕은기초가 설치되어 있을 경우 기초의 허용
지지력은 지반의 전단강도보다는 침하에 의하여
결정
5.2.3 사질토지반 즉시침하




사질토지반은 투수성이 상당히 크므로 침하
는 대부분 기초하중이 재하되는 동안 발생
그 이후는 크리프에 의한 소량의 침하만 발생
대규모기초나 실트성분이 많이 섞인 사질토
지반의 경우는 건설공사 이후에도 침하 발생
바람, 기계진동, 사일로나 탱크 속에 가득 채
웠다 비우는 일의 반복을 받는 경우도 추가
침하량이 적지 않음
5.2.3 사질토지반 즉시침하
사질토지반의 침하를 유발시키는 요인
① 전단변형률 : 재하에 의하여 형상이 변하기
때문에 발생
② 체적변화 : 다이러턴시나 압축에 의한 변화


이들 두 요소는 모두 초기 간극비와 구속압의
함수
5.2.3 사질토지반 즉시침하
사질토의 압축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①토질특성(soil characteristics)
②응력상태(state of stress in the ground)
③다짐상태(state of compaction)
④응력이력(stress history)

5.2.3 사질토지반 즉시침하
사질토의 토질특성:
입도, 입자크기, 입자형상, 조도, 광물경도 등
 두번째 중요한 요소는 지중응력상태
-수평응력이 크게 작용하면 체적변화가 적으
며 결국 침하량이 감소
-지하수위, 기초깊이, 간극비, prestressing 혹
은 prestraining
 다짐상태:
밀도와 모래입자의 방향

5.2.3 사질토지반 즉시침하


응력이력:
사질토지반의 압축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
는 요소
그림 5.8에서 보는 바와 같이 모래의 삼축시
험시 하중을 감소시켰다가 다시 재하한 경우
다시 재하시의 탄성계수 Er은 초기탄성계수
Et보다 상당히 작음
5.2.3 사질토지반 즉시침하
σ
Et
Er
조밀한모래
Et
Er
느슨한모래
ε

그림 5.8 모래의 응력=변형률 곡선
5.2.3 사질토지반 즉시침하
(2) 즉시침하량 산출방법 분류
①



탄성론에 의한 방법
사질토지반을 이상적인 탄성체(균질, 등방,
반무한)로 가정하여 탄성론에 의거 지표면
의 변형(침하)을 계산
지반은 이상적 탄성체가 아닌 관계로 이론
해석값에는 경험에 의거한 보정이 제안
특히 구속압은 지반의 탄성계수와 압축성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져서 이에
대한 보정 필요
5.2.3 사질토지반 즉시침하



Oweis(1979)는 깊이별 재하시험에 의한 변
형을 적용한 등가선형모델로 침하를 산정하
는 방법을 제안
Bowles(1987)은 Steinbrenner가
Boussinesq식을 변형률영향계수로 보정한
방법으로 모래지반상의 얕은기초침하량을 계
산할 것을 제안
Hardin(1987)은 정규압밀사질토의 전단응력
-변형률 거동을 나타낼 수 있는 일차원 변형
률 모델을 제안
5.2.3 사질토지반 즉시침하
②
경험적 방법

사질토지반상의 얕은기초 침하량을 정확하게 예
측할 수 있는 합리적인 이론은 아직 마련되어 있
지 못한 실정
침하량 계산에 필요한 계수를 얻기 위한 불교란
시료의 채취가 사질토지반에는 사실상 불가능
사질토지반의 침하량산정방법은 현장시험에서
얻은 경험에 의거
현장시험: 평판재하시험, 표준관입시험, 콘관입
시험, pressuremeter 등



5.2.3 사질토지반 즉시침하



Terzaghi & Peck(1967) 및 Peck et al.(1974)
은 표준관입시험결과를 이용하여 침하량을
산정
Schmertmann(1970)은 현장압축성을 구하
기 위하여 콘관입시험결과를 이용
Burland의 연구팀은 사질토지반상의 얕은기
초 침하에 대한 200여 사례를 연구 보고
(Burland & Burbidge, 1985; Burland et al.,
1977)
5.2.3 사질토지반 즉시침하
(3) 평판재하시험
 구조물기초의 침하량을 예측하기 위하여 대
상지반에 평판재하시험을 실시하여 얻은 침
하정보를 활용
 여러 깊이와 여러 장소에서 실시되어야 하며
지하수위도 고려
 사질토지반에서 실시할 경우 평판 바로 아래
부분 지반을 교란시키지 말아야 하며 평판 안
치시의 오차를 최소화시키도록 각별히 주의
5.2.3 사질토지반 즉시침하

Terzaghi & Peck(1948)은 평판재하시험 결
과로 부터 폭B의 후팅의 침하량을 추정하기
위하여 식(5-13)을 제안
(5-13)
여기서 SP : 0.3m 정방형평판재하시험결과 얻
은 침하량
SB : 폭B 후팅의 침하량
 침하량비는 B가 증가함에 따라 4에 수렴
5.2.3 사질토지반 즉시침하


Bjerrum & Eggestad(1963)는 침하량비
SB/SP 와 재하폭비 B/b의 관계를 사질토의
밀도와 입도를 고려하여 제시 (그림 5.9)
침하량비는 4보다 훨씬 클 수도 있음
- 여러 학자들에 의하여 확인
(Meigh, 1963; D'Appolonia et al., 1968)
5.2.3 사질토지반 즉시침하

그림 5.9 침하량비와 재하폭비의 관계
5.2.3 사질토지반 즉시침하
(4) 콘시험
 De Beer & Martens법
(5-14)
여기서 H: 대상 지층의 두께,
P0 : 기초위치에서의 초기유효상재압,
P : 기초중심축에서 순기초접지압,
C : 콘관입저항치 qc로 부터 식5-15과
같이 구함
5.2.3 사질토지반 즉시침하
(5-15)

이 방법에 의하여 산정된 침하량은 실제보다
과다산정이 되어 Meyerhof는 C값을 다음과
같이 수정하여 사용할 것을 제안
(5-16)
5.2.3 사질토지반 즉시침하

Schmertmann법
(5-17)

여기서, C1 :관입깊이계수, C2 :크리프계수
Iz: 변형률영향계수
계수 C1은 식(5-18)로 결정
(5-18)
5.2.3 사질토지반 즉시침하

계수 C2는 Nonveiller의 제안 값
(5-19)



t는 침하되는 기간
사질토지반에서는 시간의존침하량은 거의 무
시할 수 있을 정도이므로 C2 는 1.0으로 생각
하여도 무방
변형률영향계수 Iz는 그림 5.10과 같이 대칭
기초와 띠기초를 대상으로 제시
5.2.3 사질토지반 즉시침하
변형률영향계수 
0 0.1 0.2 0.3 0.4 0.5 0.7
0
B
0
B/2
q
  0.5+0.1 'vp
B
p
 q =q -q'vo
q'vo
B/2 (대칭기초)
B (평면변형률기초)
'vp
2B 대칭기초
깊이
L/B = 1
3B
평면변형률기초 L/B > 10
4B

그림 5.10 강체기초의 변형률영향계수
(Schmertmann, 1978)
5.2.3 사질토지반 즉시침하
(5) 표준관입시험




표준관입시험치 N과 침하량의 관계는 Terzaghi
& Peck(1948)이 N치와 허용지지력의 관계도를
제시
지하수의 영향을 받지 않는 (통상적으로 지하수
위가 기초폭 B의 두배 심도 아래 존재할 경우)지
반의 침하량이 25mm가 될 때의 허용지지력을
그 지반의 N값과 관련지어 구할 수 있게 제시
너무 안전측의 결과가 되어 비경제적인 설계가
됨
여러 사람들에 의하여 수정연구결과가 제시
5.2.3 사질토지반 즉시침하




표준관입시험시 관입저항치는 시험이 실시되는
깊이에서의 지반의 상대밀도와 유효응력에 영향
을 받음
N값을 다소 수정하여 사용함이 바람직함
Terzaghi는 지하수위 아래 모래지반에 대한 N값
이 15이상 일 경우 유효상재압의 영향을 보정하
기 위하여 N치를 수정
(5-20)
여기서 N′는 수정전의 표준관입시험치
N은 수정 후 값
5.2.3 사질토지반 즉시침하


Simons(1987)도 Tomlinson, Peck등의 연구
결과를 정리하여 유효상재압에 대한 N치의
보정도면을 제시
(5-21)
여기서 N은 유효상재압에 대한 수정계수
(그림 5.11)
그림 5.11에 의하면 지표면 부근에서는 N치
를 2∼4배로 수정하게 되며 깊은 곳에서는
1/2로 감소 수정하게 됨
5.2.3 사질토지반 즉시침하
유효상재압 (kN/m 2)
수정계수

그림 5.11 유효상재압에 대한 값의 보정계수
5.2.3 사질토지반 즉시침하
①
Meyerhof법
(5-22a)
(5-22b)
(5-22c)

여기서, q: 기초접지압, N값: 후팅폭크기의
깊이 범위의 N값 평균치
5.2.3 사질토지반 즉시침하


Meyerhof는 지하수위에 대하여는 별도로 보
정할 필요가 없음
지하수위의 영향은 결국 표준관입시험치 N값
에 반영되기 때문
5.2.3 사질토지반 즉시침하
②

Parry법
침하량은 재하면적, 접지압 및 지반변형계수
에 의존
(5-23)
여기서 a:상수200(SI단위),q:접지압,폭B(m)
N:표준관입시험 평균치,CD:굴착계수
CW:지하수계수, CT:압축층두께계수.
5.2.3 사질토지반 즉시침하
식(5-23)에 사용되는 N값은 다음과 같이 결정
(a) N값의 깊이별 분포가 비교적 일정할 경우 기초
저면 아래 3B/4위치의 N값으로 함
(b) 그 밖의 경우

(5-24)
여기서
5.2.3 사질토지반 즉시침하



기초 설치를 위한 지반굴착시 지반의 응력계
는 변하게 되므로 굴착전에 측정된 N값은 보
정
보정을 목적으로 굴착계수 CD가 도입되었으
며 CD 는 그림 5.12
기초가 완전히 뒤채움된 굴착지반상에 놓여
있으면 CD 는 1로 함
굴착계수 C D
5.2.3 사질토지반 즉시침하
그림 5.12 굴착계수 CD
압축층
두께계수, C T
D/B
T/B
그림 5.13 압축층두께계수 CT
5.2.3 사질토지반 즉시침하

지하수위 영향을 고려하기 위한 계수 CW는
식(5-25)와 같이 구함
(5-25a)
(5-25b)

여기서, DW는 기초 저면부터 지하수위 까지
의 깊이
지하수의 영향은 지하수위가 기초저면 아래
2B깊이까지 존재하는 경우만 고려
5.2.3 사질토지반 즉시침하


압축층두께계수 CT는 그림 5.13에서 구함
예상침하량의 반은 3B/4깊이 이내에서 발생
하고 나머지 반은 3B/4깊이에서 2B깊이 사
이에서 발생한다는 가정하에 작성
5.2.3 사질토지반 즉시침하
③
Alpen법

평판재하시험결과를 이용한 Terzaghi & Peck의
제안식(5-13)에 유효상재압의 영향을 보정한 N
값을 적용하여 침하량을 구하는 방법
(5-26)

0.3m 폭 정방형평판을 사용한 평판재하시험결
과 얻은 침하량 SP는 접지압 q와 다음과 같은 관
계가 있음
(5-27)
5.2.3 사질토지반 즉시침하
(5-28a)
(5-28b)
(5-28c)
5.2.3 사질토지반 즉시침하
유효상재압 (kN/m 2)
곡선
I
N

그림 5.14 유효상재압을 고려한 N값의 수정
5.2.3 사질토지반 즉시침하

(a) N<50의 경우
그림 5.15 N값으로 결정방법
5.2.3 사질토지반 즉시침하

(b) N>50의 경우
그림 5.15 N값으로 결정방법
0
SB
α
or α
Sp
B
5.2.3 사질토지반 즉시침하
B(m)

그림 5.16기초폭과 침하량비 관계
5.2.3 사질토지반 즉시침하
이 방법에 의한 침하량 계산순서
(a) 수정N값의 결정
-그림 5.14를 사용하여 기초 저면에서의 값을
수정
-유효상재압과 치로부터 상대밀도를 결정
-상대밀도선과 Terzaghi-Peck선이 만나는 점
이 값을 수정값

5.2.3 사질토지반 즉시침하
(b) 값의 결정
-그림 5.15(a) 및 (b)에 위에서 결정된 수정값
을 대입하여 값을 구함
-그림 5.15(a)를 활용할 경우는 적용 접지압
가 선형범위 한계치내에 있는가 여부를 검토
하며 실시
(c) B/0비 혹은 SB/SP비의 결정(그림5.16)
(d) (b)와 (c)에서 구한 0및 B/0비로부터 B
를 구하고 이 값을 식(5-28)에 대입하여 침
하량 SB를 산정
5.2.3 사질토지반 즉시침하
④
Burland & Burbidge법

모래지반 혹은 모래자갈지반상 기초의 평균침하량
은 다음과 같이 제안
(5-29)
여기서,
5.2.3 사질토지반 즉시침하


최대선행유효상재압은 과압밀모래지반이나 굴
착시 저부굴착면에서 고려되는 상재압
압축지수 IC는 식(5-30)으로 구함
(5-30)


여기서 N은 기초의 영향깊이, ZI사이의 평균치,
영향깊이 ZI는 그림 5.17로 주어짐
지하수위 아래 모래지반의 N값 보정
- N>15일 경우 Terzaghi의 식(5-20)으로 보정
- 자갈을 포함한 지반의 경우 식(5-31)로 보정
(5-31)
5.2.3 사질토지반 즉시침하

그림 5.17 영향깊이
5.2.3 사질토지반 즉시침하

형상계수 fs
(5-32)

기초 저부 사질토지반두께 Hs가 기초의 영향
깊이 ZI보다 작은 경우 모래층 두께계수는 식
(5-33)으로 구함
(5-33)
5.2.3 사질토지반 즉시침하

시간계수 ft
(5-34)

정규압밀사질토지반의 즉시침하량 Si(mm)
(5-35)
여기서 B의 단위는 m, IC는 식(5-30)으로 구함
5.2.3 사질토지반 즉시침하

과압밀사질토지반 혹은 굴착저부에서의 선행유
효상재압이   0일 경우, 접지압 q ( q    0 경우)에
대응하는 평균침하량 Si(mm)는 두 개의 성분으
로 구성됨
(5-36)
5.2.4 탄성계수
(1) 탄성계수의 결정
 탄성론을 도입하여 침하량을 계산할 경우 탄
성론에서는 지반을 탄성계수와 포아송비의
두 가지 정수만으로 특성이 나타남
 침하량해석결과 포아송비는 침하량에 그다지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음
 탄성계수가 침하량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소가 되므로 탄성계수를 결정하는 것은 대
단히 중요
5.2.4 탄성계수
Ei=초기접선계수
Es=할선계수(max의 50%에서)
그림 5.18 탄성계수의 결정
실내역학시험결과
얻어지는 응력과
변형률 사이의 거동이
비선형적이 되므로
어느 부분의 기울기를
취하느냐에 따라 침하
량이 크게 달라짐
5.2.4 탄성계수




삼축압축시험이나 일축압축시험으로 탄성계수를 결
정하는 방법
초기탄성계수 Ei : 시험결과 얻어진 그림 5.18과 같
은 응력-변형률 곡선의 초기기울기를 취하여 초기접
선기울기(initial tangent modulus)
활선계수(secant modulus) : 최대응력max의 25%
혹은 50% 되는 응력점과 원점을 연결한 기울기
max의 50%응력점을 지나는 활선계수를 E50으로 표
현
5.2.4 탄성계수

진정한 탄성성분의 탄성계수를 얻고자 할 경
우
- 그림 5.8에서와 같이 제하와 재재하시의
기울기 Er로 탄성계수를 구할 수 있음
- 보다 정확한 탄성계수를 얻기위하여는 제
하(unloading)나 재재하(reloading)시의 기
울기로 구하는 것이 좋음
5.2.4 탄성계수
(2) 비배수강도와 탄성계수의 관계
 체적변화가 없는 비배수상태에서의 침하량을
계산하기 위하여는 비배수탄성계수 Eu를 적
절히 선정(비배수삼축시험결과로 결정)
 통상적인 삼축시험으로 구한 비배수탄성계수
는 현장에서 얻은 탄성계수보다 훨씬 작게 나
타남
5.2.4 탄성계수


비배수강도에 대한 탄성계수의 비 Eu/cu를 경
험적으로 얻어 사용
Holtz(1991)는 여러 가지 실내시험과 현장시
험으로 얻은 Eu/cu값을 소성지수 PI와 관련지
어 그림 5.19와 같이 정리
- 고소성지반일수록 Eu/cu값이 작고 저소성
지반에서는 Eu/cu 의 분산도가 아주 커서
Eu/cu가 100∼4000까지 분포함
5.2.4 탄성계수
cu

그림 5.19 Eu/cu와 소성지수의 관계
5.2.4 탄성계수
(3) 콘관입저항치와 탄성계수의 관계
 Schmertmann(1970)은 탄성계수를 콘관입
저항치 qc로 부터 다음과 같이 제안
(5-37a)
(5-37b)
(5-37c)
5.2.4 탄성계수

카나다기초공학요람(CFEM)
(5-38)
여기서 k=1.5: 실트와 모래
2 : 다짐모래
3 : 조밀한 모래
4 : 모래 및 자갈
탄성계수는 배수가 용이한 모래나 실트질 모래지반
에 적합하며 후팅형태 하중재하시의 모래지반의 등
가영계수라 할 수 있음
5.2.4 탄성계수


카나다기초공학요람(CFEM)에서는 이 탄성
계수를 "겉보기탄성계수"라 함
이 계수는 다음과 같은 계수M0에 관련됨
(5-39)
5.2.4 탄성계수
(4) 표준관입시험치와 탄성계수의 관계
 표준관입시험치 N값은 동적관입시험인 관계
로 정적콘관입시험치인 보다 일반적으로 신
뢰성이 떨어지는 것으로 취급
 표준관입시험은 널리 사용되고 있으므로 값
으로 여러 가지 지반특성정수를 근사적으로
추정하고자 하는 시도가 많이 실시됨
5.2.4 탄성계수
N값으로 Es값을 추정하는 방법
(1) Es와 qc의 관계를 활용하기 위하여 N값과 qc값
의 상관관계를 정리하여 사용하는 방법
- qc/N과 평균입경 D50 과의 관계 이용
1) Robertson et al(1983) : 그림 5.20(a)
2) Burland & Burbidge(1985) : 그림 5.20(b)
(잔자갈과 중간굵기자갈이 포함되어 있는
지반의 결과임)

5.2.4 탄성계수

그림 5.20(a) qc/N과 D50의 관계 (Robertson et al., 1983)
5.2.4 탄성계수

그림 5.20(b) qc/N과 D50의 관계
(Burland & Burbidge, 1985)
5.2.4 탄성계수
(2) N값에서 직접 Es를 추정하는 방법
- Anagnostopoulos(1990)는 실내시험결과 다
음과 같이 제안함
(5-40a)
(5-40b)